1. 연금 수령 요건

아래의 2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연금개시 가능.

  • 가입기간 5년 경과
  • 만 55세 이후 - 회사 퇴직 후 국민연금 수령까지 버팀목이 가능할 수도 있는 부분
  • (지급 시 수령기간 / 수령액 / 세금은 추후 다시 정리해보자)

그림 출처 :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

 

 

2. 세액공제액

2023년부터 아래와 같이 개정되어 연금저축계좌에 600만원+ IRP에 300만원을 납입하는 것이 나에게 유리하다고 판단됨.

  • 연 900만원 납입 -> 약 118만원 세액공제 -> 다음해 118+782만원으로 납입 -> 반복

그림 출처 :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

 

3. 납입한도

연금저축, IRP 합산하여 연 1,800만원

 

 

4. 장점

과세이연

연금 계좌에 입금되는 이자, 배당 수익 등은 금융소득을 잡히지 않아 배당소득(금융소득)에 대한 과세(15.4%)를 하지 않고,

수익을 찾을 때 과세

  • 향후 금융소득종합과세에 포함될  누진세율 적용: 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 시 종합과세 누진세율 적용
  • 금융소득 건강보험료: 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 시 소득월액 보험료 추가납부
    • 건강보험제도가 바뀔 경우, 기준 금액이 변경될 수 있음:
      - 2025년 11월부터 시행되는 건강보험료 확대 방침: 336만원 넘는 금융소득 건강보험료 부과
    • (직장인)직장가입자의 기준: 2000만원 / (프리랜서)지역가입자의 기준: 1000만원
    • (참고) 피부양자(자녀계좌) 고민 필요:  금융소득 336만원 초과 시 피부양자 탈락

 

 

출처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보 ] 카카오 본사 평균연봉 정말 1억 넘을까?  (1) 2024.05.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