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들의 스톡옵션 행사차익을 제외한 카카오 직원들의 2023년 평균 연봉(상여포함)은 9200만원 입니다.

- 출처 : 전자공시시스템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418000375

 

2023년 카카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스톡옵션 행사차익을 제외했을 때 평균 급여액이 1억이 되지 않습니다.

과거에도 행사차익을 제외했을 때 평균 금여액이 1억을 넘긴적이 없습니다.

카카오 2023년 실질 평균 임금

 

2022년 사업보고서를 볼까요? 9500만원 이네요

카카오 2022년 실질 평균 임금

 

2021년 사업보고서를 볼까요? 8900만원이네요.

카카오 2021년 실질 평균 임금

 

코로나 때 평균연봉 1억이라는 내용이 기사화되면서 이슈거리되었기 때문에, 

2021년 이전 사업보고서에는 스톡옵션 제외 급여액이 사업보고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아서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사업보고서 보고 임금을 계산하면 나오겠지만 귀찮아요..)

연도 스톡옵션 행사포함 스톡옵션 행사제외
2023년 1억 100만원 9200만원
2022년 1억 3900만원 9500만원
2021년 1억 7200만원 8900만원
2020년 1억 800만원 알 수 없음
2019년 8천만원 알 수 없음

 

 

Q. 카카오 전 직원에 스톡옵션 줬다던데? 그 직원들도 행사하는거면 스톡옵션 행사차익을 포함해야 하는거 아니야? 

A. 전 직원에 부여된 스톡옵션은 아직 행사가능하지 않아서 제외 하는것이 맞습니다.

2021년부터 3년간 1인당 최대 200주의 스톡옵션을 부여한 바 있으나, 행사를 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이 지나야 하고 현재의 주식 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높아야 합니다.

부여일 행사가격 만료일 출처
2021년 05월 04일 (200주) 11만 4040원 2028년 05월 04일 https://www.mk.co.kr/news/it/10191605
2022년 03월 29일 (200주) 10만 2393원 (종가기준) 2029년 03월 29일 2023.11.14 카카오 분기보고서
2023년 03월 28일 (200주) 6만 2174원 (종가기준) 2030년 03월 28일 2023.11.14 카카오 분기보고서

 

지금 주가가 부여된 가격보다 낮기 때문에 행사할 수 없고, 만료일까지 카카오 주식이 지지부진하면 그냥 폐기됩니다.

 

Q. 그래도 22년도부터는 평균 임금이 1억에 가깝게 올랐네요? 

A. 네. 맞습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직원이 1억에 가깝게 받는다고 오해하면 안됩니다.

- 스톡옵션 행사차익만 제외했기 때문에 경영진들의 급여와 상여금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 이것도 사업보고서 찾아보시면 몇억대에서 몇십억대 등 경영진마다 지급된 급여를 볼 수 있습니다. 

- 그러므로 일반 직원들은 더 줄어들 겁니다.

 

 

결론 

코로나 이후 개발자 부족현상으로 인해 임금이 올라서 22년부터 스톡옵션 제외한 평균임금이 1억에 근접해졌다.

하지만 경영진 포함이므로, 평직원으로 카카오 간다고해서 1억 넘게 받을거라고 생각하지 말자.

- 22년도에 카카오 임금을 일괄 500만원 + @로 인상한 덕분에.. 많이 올랐다.

- 24년, 25년 지나면 스톡옵션 제외한 평균임금이 1억을 넘을 수도 있을 것 같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노후준비 ] IRP / 연금저축계좌 정보 기록 -1편  (0) 2024.04.25

1. 연금 수령 요건

아래의 2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연금개시 가능.

  • 가입기간 5년 경과
  • 만 55세 이후 - 회사 퇴직 후 국민연금 수령까지 버팀목이 가능할 수도 있는 부분
  • (지급 시 수령기간 / 수령액 / 세금은 추후 다시 정리해보자)

그림 출처 :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

 

 

2. 세액공제액

2023년부터 아래와 같이 개정되어 연금저축계좌에 600만원+ IRP에 300만원을 납입하는 것이 나에게 유리하다고 판단됨.

  • 연 900만원 납입 -> 약 118만원 세액공제 -> 다음해 118+782만원으로 납입 -> 반복

그림 출처 :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

 

3. 납입한도

연금저축, IRP 합산하여 연 1,800만원

 

 

4. 장점

과세이연

연금 계좌에 입금되는 이자, 배당 수익 등은 금융소득을 잡히지 않아 배당소득(금융소득)에 대한 과세(15.4%)를 하지 않고,

수익을 찾을 때 과세

  • 향후 금융소득종합과세에 포함될  누진세율 적용: 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 시 종합과세 누진세율 적용
  • 금융소득 건강보험료: 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 시 소득월액 보험료 추가납부
    • 건강보험제도가 바뀔 경우, 기준 금액이 변경될 수 있음:
      - 2025년 11월부터 시행되는 건강보험료 확대 방침: 336만원 넘는 금융소득 건강보험료 부과
    • (직장인)직장가입자의 기준: 2000만원 / (프리랜서)지역가입자의 기준: 1000만원
    • (참고) 피부양자(자녀계좌) 고민 필요:  금융소득 336만원 초과 시 피부양자 탈락

 

 

출처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보 ] 카카오 본사 평균연봉 정말 1억 넘을까?  (1) 2024.05.14

내가 써보고 괜찮았던 제품을 기록하기 위한 블로그.

 

이 제품이 괜찮다고 생각했던 이유!!

1) 노트북 충전기 대용하여 사용가능하다. (USB-C 타입으로 충전가능한 노트북)

- 노트북 전력소모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맥북 프로의 경우 1번포트 혼자 써야되고, LG 그램 노트북은 2개 멀티로 휴대폰과 같이 충전해도 무리 없을 정도였다.

- USB-A 타입도 제공해서 어디 나갈 때 충전기는 이거 하나만 들고 다녀도 충분하다.

 

2) 고주파 소리가 나지 않는다.

- 소비자 입장에서 가성비 있는 제품을 찾기 마련이므로 다른 회사의 몇 천원 더 저렴한 제품을 구매했었는데 고주파 소리가 어찌나 신경쓰이던지.. 

- 이 제품을 쓰고 있는 상태에서 충전기가 더 필요하여 타사 제품을 추가 구매했던건데 고주파 소리에 결국 포기하고 동일 제품을 더 샀다. 

- 이 제품만 5개 쓰고 있다. (최근에 2개 더 주문해서 7개 될 예정 0.0 )

 

3) 내구성 / 사이즈

- 근 3년을 사용했는데 아직 짱짱하다. 하지만 더 써봐야알지? 이 후 문제생기면 수정하겠다.

- 5~6 포트 멀티충전기 여려 종류 써봤는데 빠른건 2년부터 충전포트가 하나씩 고장이 나더라. 아마 콘덴서 같은 부품이 수명을 다했겠지..

- 길다란 일직선이라 멀티탭에 꽂을 때 다른 구에 방해되지 않는다.

 

단점!?

1) 멀티충전할 때나 상태가 변경될 때 전압 변경을 위해 1초 정도 전력이 끊긴다.

- 맥북에 꽂아두고 멀티 충전할 때는 특히 불편한 부분인데, 멀티충전할 때 맥북을 끄면 1초 전력이 끊겼다가 다시 전력이 공급되면서 맥북이 다시 켜진다. ( 0_0 )

 

2) 최저가는 아니다.

- 말그대로 최저가는 아니다. 더 싼 제품도 있고 비싼 제품도 있는데 더 저렴이는 잘 모르겠다.

- 광고 많이 하는 다른 제품을 써봤는데, 전반적으로 잘 만들어졌다 정도.

- 이 정도면 가성비 있지 않을까? 

노트북 충전 대용으로 사용
3가지 멀티 충전 제공
제조일 및 정격출력

 

 

 

+ Recent posts